Profile Image
Mark-Kim
Tech Blog
Post Item Image
서버 성능 이야기 첫 번째. 성능 테스트를 통한 서비스 병목점 찾기
2025.03.25.
Server
Performance
이번 글은 서버 개발자가 서버 성능에 대해서 왜 꼭 알야하는지에 대한 간단한 이유를 시작으로, 서버 성능에 대한 평가 지표와 성능 테스트를 통해 어떤 부분을 개선해나가야하는지 설명한다.
Post Item Image
Reactor-Netty 동작과정 이해하기 (Reactor Netty Deep Dive)
2025.01.17.
Java
Netty
Reactor
Webflux
Non-blocking
Reactor-Netty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직접 코드를 살펴보면서 Deep Dive하여 정리한 글입니다.
Post Item Image
예시를 통해 Reactor Sinks 이해하기
2024.12.16.
Reactive
Non-blocking
Reactor
Webflux
예시를 통해 Reactor Project의 Sinks를 이해해본다.
Post Item Image
네티 이해하기 (Netty Deep Dive)
2024.05.06.
Java
Non-blocking
NIO
Network
Event-loop
Netty
Webflux
Netty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직접 코드를 살펴보면서 Deep Dive하여 정리한 글입니다.
Post Item Image
사례를 통해 이해하는 Reactor Backpressure
2024.03.02.
Reactive
Non-blocking
Webflux
Reactor
이번 글은 단순히 Reactor에서 어떤 Backpressure 전략을 제공하는지 살펴보기보단, 직접 Backpressure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코드로 시뮬레이션하며 정확히 어떻게 동작하는지 살펴보고 정리한다.
Post Item Image
Reactor 생명 주기(Lifecycle)를 통해 이해하는 동작 방식
2024.02.12.
Reactive
Non-blocking
Webflux
Reactor
Reactor에선 Reactive Streams를 3단계의 생명 주기로 구현하고있다. 조립, 구독, 실행
Post Item Image
Reactive와 Reactive Streams 이해하기
2024.02.09.
Reactive
Non-blocking
Webflux
Reactive란 무엇이며, Reactive 방식의 가장 기초가 되는 개념인 Reactive Streams에 대해서 살펴본다.
Post Item Image
사례를 통해 이해하는 Event Loop
2024.01.11.
Java
Non-blocking
NIO
Network
Event-loop
Netty
직접 간단한 대문자 전환 서버를 Event Loop 형식으로 구현해보면서 Event Loop가 무엇인지 살펴본다.
Post Item Image
사례를 통해 이해하는 네트워크 논블로킹 I/O와 Java NIO
2024.01.06.
Java
Non-blocking
NIO
Network
Netty
간단히 대문자 변환 서버를 직접 코드로 작성해보면서 네트워크 논블로킹 I/O와 Multiplexing I/O 그리고 Java NIO의 동작원리는 이해해본다
Post Item Image
HTTP 진화과정 이해하기 두번째 - HTTP/2.0
2023.10.04.
Network
HTTP
HTTP/1.1에서 HTTP/2.0으로 발전하게되는 과정을 통해 HTTP/2.0를 정리해본다.

© mark-kim.blog Built with Gatsby